사람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형제처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호형호제(呼兄呼弟)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호형호제의 뜻과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호형호제 뜻
호형호제(呼兄呼弟)는 서로를 형, 아우라 부를 정도로 친한 관계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呼(부를 호): 부르다
- 兄(형 형): 형
- 弟(아우 제): 아우
즉, 호형호제는 서로 형제처럼 부를 정도로 매우 가까운 사이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호형호제는 피가 섞이지 않았더라도 진정한 형제처럼 돈독한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가리킵니다.
유래
호형호제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실제 혈연이 아니더라도 의형제를 맺고 서로를 가족처럼 부르며 지낸 관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사서나 문집에서도 "호형호제하며 지냈다"는 기록이 자주 등장하며, 우정이나 신의를 중시했던 유교 문화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쓰인 표현입니다.
예문
호형호제(呼兄呼弟)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 사람은 혈연은 아니지만 호형호제하며 서로의 일을 도왔다.
- 그는 동네 어르신들과도 호형호제하며 지낼 만큼 붙임성이 좋다.
- 사업 파트너와도 단순한 관계를 넘어 호형호제의 정을 나눴다.
이처럼 호형호제는 깊은 우정이나 인간관계의 친밀함을 강조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호형호제 반대말
호형호제의 반대말은 서로 멀어지거나 원수처럼 대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원수지간(怨讐之間): 서로 원한이 깊은 관계
- 불구대천(不俱戴天): 하늘 아래 함께 살 수 없을 정도로 원한이 깊은 사이
- 반목질시(反目嫉視): 서로 등을 돌리고 시기하며 노려보는 관계
이처럼 반대말은 우정과 친밀함의 부재, 혹은 적대감을 나타냅니다.
호형호제 유의어
호형호제와 뜻이 유사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왈형왈제(曰兄曰弟): 서로를 형이라 하고 아우라 부름. 친밀한 관계의 또 다른 표현
- 죽마고우(竹馬故友): 어릴 때부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친구, 소꿉친구
-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의 우정처럼, 신뢰 깊은 친구 관계
- 금란지계(金蘭之契): 형제 이상의 깊은 의형제 관계
그중 왈형왈제는 호형호제와 거의 동격의 표현으로, 문장 분위기에 따라 대체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끝맺음
호형호제(呼兄呼弟)는 피를 나눈 형제가 아니더라도 서로를 형제처럼 여기며 우정을 나누는 진심 어린 관계를 상징합니다.
왈형왈제, 죽마고우, 금란지계 같은 유의어와 함께 사람 사이의 돈독한 정을 표현할 때 유용하게 쓰이는 말입니다.
요즘처럼 인간관계가 점점 얕아지는 시대일수록, 호형호제의 진정한 의미가 더욱 깊이 다가옵니다.
👇 관련 글 모음
홍안박명(紅顔薄命)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적지수(墨翟之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3) | 2025.06.19 |
---|---|
호사토비(虎死兎悲)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1) | 2025.06.17 |
천학단재(淺學短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1) | 2025.06.16 |
일도할단(一刀割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2) | 2025.06.09 |
앙급지어(殃及池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1) | 2025.06.04 |